<1> 부동산 이용활동
1. 토지이용의 최유효이용
- 합리적/합법적 최고최선의 이용
(1) 최유효이용 판단기준
- 필요조건: 합리적(실현능한, 먼 미래 불확실X), 합법적, 물리적채택
- 충분조건: 최대수익의 실현가능성(경험적 증거필요)
2. 최유효이용과 집약적 토지이용
(1) 토지이용의 집약도 = 투입되는 노동과 자본의 양/ 단위면적의 토지
(2) 집약적 <-> 조방적
- 수확체감법칙: 하나의 생산요소만을 어느수준 이상 투입하면, 총생산량은 증가하나 추가적인 생산량은 감소. 즉, 집약도 높일수록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노동과 자본에 대한 수익비율 감소. 건물의 고층화
- 집약한계 : 한계수입=한계비용 즉, 이윤극대화지점의 집약도 (한계효용층수), 집약한계점은 집약도의 상한선으로 이 지점을 벗어날 경우 이윤 감소(바로손실은X)
- 조방한계 : 총수입=총비용 즉, 이융이 0이 되는 손익분기점, 토지집약도의 하한선으로, 이 지점을 벗어나면 바로 손실
구분 |
집약한계 |
조방한계 |
성립조건 |
한계비용=한계수입 |
총수익=총비용 |
이윤 |
이윤극대화지점 (넘어서면 이윤감소) |
손익분기점 (넘어서면 손실) |
토지이용(토지집약도) |
상한선 |
하한선 |
* 집약한계를 상한선, 조방한계를 하한선으로 토지이용의 최유효이용방안 모색
(3) 집약도 증가요인
- 규모의 경제, 부증성, 인구밀도 증가, 지가상승, 경영효율증가, 건축비(생산비)하락, 산업발달, 경영자능력과 풍부한 자본
(4) 토지와 자본의 대체관계
- 도심은 자본투입율을 높여야하며, 토지에 대한 자본의 대체성이 크고 집약적 이용 이루어짐
- 외곽은 토지투입율을 높여야하며, 토지에 대한 자본의 대체성이 작으므로 토지의 조방적 이용 이루어짐
(5) 최유효이용과 입지잉여
- 입지잉여는 입지조건이 양호해서 생기는 특별이익(경영능력때문X)
- 입지조건과 토지이용의 집약도가 같더라도 입지잉여는 모든 입지주체에 똑같이 생기지 않음.
- 한계입지 : 입지조건이 상대적으로 나쁜곳, 초과수익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(입지잉여0) 위치
3. 도시의 토지이용과 지가구배현상
- 지가구배현상: 도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지가가 낮아지는 현상(도심에 가까울수록 지가하락률 크고, 외곽으로 갈수록 낮음)
- 소도시 : 단순, 단핵구조, 집약적, 와곽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조방화되어 지가 급락
- 대도시 : 도심에서 도시 경계까지 중간에 여러 도시핵이 있어 복잡한 다핵구조, 물결굽이처럼 완만한 지가수준 유형
4. 도시스프롤
- 무질서, 무계획적, 불규칙적으로 외곽으로 확산되는 현상
- 주거, 상업, 공업지역 모두에서 발생
- 대도시 중심지보다 외곽부에서 발달, 입체슬럼형태
- 토지 최유효이용 괴리에서 발생, 스프롤지대 지가수준은 일반적으로 표준이하
- 원인 : 인구증가로 지가 급등, 토지이용계획 소홀
- 유형 : 저밀도연쇄현상, 고밀도연쇄현상(우리나라), 비지적현상(개구리), 간선도로따라
- 대책 : 그린벨트 설정 등 체계적 도시계획
5. 침입적 토지이용
- 침입: 확대적침입(집약적 이용이 조방적 이용을 침입à 지가상승효과, 통상적), 축소적침입(조방적이용이 집약적이용을 침입 à 지가하락 효과)
- 계승(천이) : 침입결과 기존의것을 교체하는 결과
- 낮은 지가수준과 강한흡인력 등은 침입활동의 유발인자
- 침입은 새로운 지역이 아닌 기존의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
- 원주민 강한 저항, 행정적 규제 등으로 침입 용이하지 않음
6. 직주분리와 직주접근
- 직주분리 : 직장과 주거지가 멀어지는 현상(수평공간의 확대) è 도넛(도심공동화)현상, 외곽 침상도시화, 도심으로의 고동비율 증가로 교통혼란, 외곽지역 지가상승 초래
- 직주접근 : 직장과 주거지가 가까워지는 현상(회귀현상, 입체공간 확대) è 도심주거용 건물의 고층화(주상복합건물화), 도시회춘화현상(상향여과)
|
직주분리(수평공간확대) |
직주접근(입체공간 확대) |
원인 |
지가상승, 환경악화, 규제강화, 재개발철거, 교통발달 |
지가하락, 환경새건, 규제환화, 재개발완료, 교통체증 |
결과 |
도심공동화, 외곽 침상도시화 |
도심주거율건물의 고층화, 도시회춘화 |
* 집중반전현상 : 대도시에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지방으로 분산하는 것으로, 대도시 초기에는 도심으로의 집중현상 à 나중에는 규모가 커짐에 따른 불이익 증가로 집중반전 현상 발생
7. 한계지의 지가법칙
- 한계지 : 택지이용의 최원방권 택지와 농지의 경계지역
- 농경지의 지가수준과는 무관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
- 단절지가 : 한계지와 주변농지와 지가차이가 심한 경우
- 자가의 한계지대곡선이 더 완만함(자가의 한계지는 차가의 한계지보다 원방권에 위치)
- 한계지는 초기에 지가 상승이 빠르며 항상 변동과정
- 대중교통수단 발달 및 교통체계 정비는 한계지 연장을 초래
2020년 공인중개사 시험일정 (0) | 2020.08.13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