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"르네 마그리트" 작품 2편. 초현실주의 작가 그리고 사과 (feat. 데페이즈망 기법)

트랜드&이슈

by shinysuny 2020. 8. 8. 18:55

본문

반응형
SMALL

 

레슬러의 무덤

 

르네마그리트 레슬러의 무덤

 

 

붉은 장미 한송이가 방 하나의 내부를 꽉 채웠다. 

방 안을 가득 채울 수 있는 한 송이의 장미꽃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. 

왜 마그리트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붉은 장미꽃 한송이를 방 안에 가득 채웠을까. 

그림 이면에 숨은 상징이 무엇일까를 생각하며 작품의 제목을 확인해 본다. 

 

이 그림의 제목은 "레슬러의 무덤"이다. 

 

르네 마그리트가 방 안을 가득 채워 사물을 그려 놓은 또 다른 그림이 있다. 

제목 <리스닝룸> 이다. 

 

 

르네마그리트 리스닝룸

 

연둣빛 사과를 방 내부에 가득 그려 놓았다. 

 

사과는 <인간의 아들>, <이것은 사과가 아니다> 와 같은 마그리트의 작품에서 종종 보이는 소재 중 하나이다. 

 

 

르네마그리트와 사과

성서의 창세기에서 아담과 이브는 하느님이 따 먹지 말라는 선악과, 사과를 따먹는다. 이로 인해 스스로 벌거벗었음을 꺠닫고 부끄러움을 느끼게 되었다. 이로서 인간은 스스로 부끄러움을 알게 된 존재가 되었다. 

 

'사과'는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과 함께했다. 뉴턴의 만유인력을 발견 한 것도 사과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면서 였고, 철학자 스피노자는 "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" 라고 말했다. 그리고 현대의 스마트폰 역사를 만든 아이폰의 회사, 애플은 한 입 문 사과를 상징으로 했다. 

 

마그리트는 몽환적인 이미지와 추상적인 이미지를 섞은 다른 초현실주의 화가들과는 달리, 평범한 연둣빛 사과를 방 전체를 채울 정도의 크기로 묘사한 것처럼 '초현실적인 상황에 놓인 정상적 이미지'를 만든다.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